Java/Spring MVC

20.08.25 SpMVC_ShopV2

우롱차 2020. 8. 25. 15:41
728x90

 * @RequestParam(query_이름)
 * URL에 담긴 변수 이름과 실제 사용하는 파라메터 변수가 다를 때는 
 * @RequestParam()을 사용하는 방법이 있다.
 * @questParam()은 Spring Framework 4.x 이상에서는 선택사항이다.
 * "query_이름"과 파라메터 변수 이름이 같을 때는 생략해도 된다.
 * 
 * 단, 이 Annotation은 primitive형 이거나
 *  wrapper(Integer, Character, String ...) 일 경우만 사용 가능하다.
 * 
 *  임의로 만든 VO를 파라메터로 사용할 때는
 *  @ModelAttribute()를 사용해야 한다.

 

maaper.xml에 안쓰고 셀렉트라는 어노테이션을 쓰려고 ProductDao 에다가 오버라이드 해줌

>> 실무에서는 그렇게 쓰지 않는데 이런게 있다고 알고 가야함!

>> ProductDao

 

a태그에다가 id를넣어주지 말고

nth-child를 넣어주자 왜냐하면 문서끼워넣기 하다보면 id변수명을 계속 수정해야하는 경우가 생기니까

 

데이터베이스 문제에서

PK에대해 상당히 많이 나온다!

스프링 폼태그
스프링폼태그의 폼태그
스프링폼태그의 인풋

스프링 form 태그가 알아서 다 만들어준 거!

단, model Attribute가 있어야함

writeV2 확인 

proController확인!


	@RequestMapping (value = "/insert", method=RequestMethod.GET)
	public ModelAndView insert(@ModelAttribute("DEPT_VO") DeptVO deptVO) {
		ModelAndView model = new ModelAndView();
		model.addObject("BODY","DEPT_WRITE");
		model.setViewName("home");
		return model;
	}
    // >> deptController
    // 전통적인 자바 코드
    // 얘가 이해하기 편한 코드
    
    @RequestMapping (value = "/insert", method=RequestMethod.GET)
	public String insert(@ModelAttribute("PRO_VO")ProductVO proVo, Model model) {		
		model.addAttribute("BODY","PRO_WRITE");
		return "home"; //home.jsp로 가는
	}
    // >> productController
    // spring이 돌아가는 원리를 알면 이해하기 쉽다.
    // dispathcer를 모르면 이해하기 어려움
    
    // >> 회사마다 특성이 달라서 위에코드, 아래코드를 둘중에 하나를 사용해야해서
    // 같은 클래스인데 사용하는 방법만 틀림
    // 아래 코드는 new라는 초기화를 안해줘도 훨씬 spring 다운 코드다
    
    // 위아래 사용법은 다르지만 하는 방법은 똑같은 코드다

 

728x90

'Java > Spring MVC'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08.27 ShopV4  (0) 2020.08.27
20.08.26 SpMVC_ShopV3  (0) 2020.08.26
스프링 프로젝트 순서  (0) 2020.08.21
20.08.20 SpMVC_ShopV1  (0) 2020.08.20
20.08.14 로그백 SpMVC_BlogV3  (0) 2020.08.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