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ring MVC
Request : Web Browser → Controller
Response : Controller → View → WebBrowser
POJO 오래된 자바를 쓰자 plan old java →MVC2
Spring MVC 가 MVC2보다 조금 향상된 MVC3까진 아님
req를 하면 톰캣이 먼저 수신하게 됌
view에서 렌더링을 해서 웹브라우저에다가 보냄
일반적인 것에선 view가있어야 해야하고
RestController는 view가 없어도 리스폰이 가능하지만 우리는 일반적인걸 할거당~~
a href="input" 무조건 GET 방식
value="/input"을 찾아가서 GET방식인애를 찾음
중요한 부분은 @RequestMapping으로 되어있는 부분이다.
return "write"; < views에 있는 write.jsp 파일을 읽어라고 하는 거임
그래서 write.jsp를 읽고 convert HTML to browser
Req 는 form 인풋 데이터입력 서브밋(버튼)으로 저장이 되어있어야함
버튼이 무조건 서브밋이어야지 보낼 수 있다.
그 form action="writer" method="POST"가 method가 POST인애를 찾아감
그래서 model에담고 view.jsp에 보냄
그 항목에서 ${TITLE}을 찾음
스프링엠브이씨를 설명해보세요
함...면접에서
여기까지 복습
빨간색이 context
blog/list req주소
엉뚱한 주소로 나옴
<%@ taglib uri="http://java.sun.com/jsp/jstl/core" prefix="c" %>
new jsp파일 템플릿으로 추가해주기
<c:set var="rootPath" value="$${pageContext.request.contextPath}" />
이것도
http://localhost:8080/blog/static/css/main.css
http://localhost:8080/blog/blog/static/css/main.css
-- 상대 주소 지정
-- http://localhost:8080/blog
href="static/css/main.css"
-- 절대 주소 지정 방식
href="http://localhost:8080/blog/static/css/main.css"/>
href="${pageContext.request.contextPath}/static/css/main.css"/>
이페이지의 콘텍스트는 사용자가 req한게 있는데 contextPath를 (http://localhost:8080/blog) 스프링 톰캣이 주소를 정확하게
저 변수가 이미 준비되어있는 시스템 변수
저걸 쓰게되면 서버를 어떤 컴퓨터에다가 설치를 해도 소스코드를 변경 시킬 일이 없다.
항상 모든 주소, href 이런것들은 항상 ${pageContext.request.contextPath} 이 변수명을 적어주면 된다.
<c:set var="rootPath" value="${pageContext.request.contextPath}" />
저 긴 변수값을 담아놓고 사용할때는 rootPath로 줄여서 쓰겠다는
href="${rootPath}/static/css/main.css"/>
url로 되어있는 부분은 다 ${rootPath}이렇게 넣어주자
**위처럼 엉뚱한 주소가 안나오게 막아주고 변수명을 지정해줌**
서버가 나타내는 status code 상태코드
web이 200이라는 상태코드를 받으면 데이터가 올때까지 기두림
크롬은 10초이상거릴면 끊어버림
200번대는 정상적이고 너에게 정상적인 데이터를 줄 수 있다
200 ~ 299까지 숫자가 200이 자주쓰이고
304 데이터이미 보냈으니까 데이터 너가 찾아 하는 코드
300번대는 요청이 정상적인데 너에게 데이터 줄게 없으니 너가 알아서 해라
writer1 일반적인 서비스는 404 NOT FOUND
405 method가 없음
400번대 코드는 너가 server한테 요청한게 잘못됐어
400 너가 주소도 보내고 method도 보냈는데 server한테 보낸 데이터를 수용할 수 없을 때
400번대 코드는 요청이 잘못 됐을 때
controller까지 정상적으로 오고 DB에서 exception이 발생해서
데이터가 줄 수 없을때는 500
자주 보이는 코드
500 내부에서 exception이 발생함 서버오류
이러한 것들을 server에 상태코드 http의 상태코드라 한다.
특히 400번대 오류가 자주 나옴
https://ko.wikipedia.org/wiki/HTTP_%EC%83%81%ED%83%9C_%EC%BD%94%EB%93%9C
상식적인 수준에서 알고가자
블로그에 리스트를 보겠다
블로그에 데이터를 입력하겠다이렇게만 보고 무슨일을 하는지 짐작 할 수 있게함
규칙은아님~
'Java > Spring MVC'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08.14 로그백 SpMVC_BlogV3 (0) | 2020.08.14 |
---|---|
20.08.13 SpMVC_BlogDB,SpMVC_BlogDBV2 (0) | 2020.08.13 |
8/11 (0) | 2020.08.11 |
스프링 구현 순서 (0) | 2020.08.03 |
20.07.31 SpMVC_001_Order (0) | 2020.07.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