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태 코드 위키 백과 (ko.wikipedia.org/wiki/HTTP_%EC%83%81%ED%83%9C_%EC%BD%94%EB%93%9C)
HTTP 상태 코드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아래는 HTTP(하이퍼텍스트 전송 프로토콜) 응답 상태 코드의 목록이다. IANA가 현재 공식 HTTP 상태 코드 레지스트리를 관리하고 ��
ko.wikipedia.org
200 : 가장 정상적인 코드
304 : 계속 요청을 했을 때 내가화면을 이미 줬으니 그거로 써라하는 코드. 변경된게 없으니까 새로고침하게 되면 304 코드가 발생함
404 : 이 주소를 찾을 수 없다는 코드
403 : Auth
405 : Method가 틀렸다.
500 : query가 틀림
302 : 딴데 알아봐 redirect
304 : 방금데이터 줬으니까 그대로 써!
이정도는 알고 있어야함
HTTP 프로토콜에서 response Code
200 : Server가 요청(Request)를 정상적으로 수신하고
response 할 데이터를 준비중
3xx : 요청은 정상적으로 수신했으나 보낼 데이터가 없거나
이미 보냈기 때문에 다시 보내지 않겠다.
302 : redirect
304 : 직전에 보낸 데이터이가 변화가 없으니 그대로 사용해라
4xx : 요청 정보가 문제가 있다
404 : 요청주소(URL, URI)가 서버에서 처리할 end point가 없다( 주소가 없다는 의미)
405 : 요청주소는 있으나 method(GET, POST)가 지정되지 않았다.
ex) 브라우저 주소창에
http://localhost:8080/book/input라고 request를 했는데
서버에 @RequestMapping(value="/input", method=POST)만 있을때
form의 action="/input" method=POST 로 지정된 데이터를
submit 했는데 서버에 @RequestMapping(value="/input", method=GET)만 있을 때
(nodejs는 405를 무시하고 404로 처리)
(스프링은 405번호도 볼 수 있다.)
403 : 요청권한이 없다. 인증이 잘못 되었거나 ROLL(역할)이 잘못 되었다. (security하면 볼 수 있음)
400 : form에 데이터를 입력하고 서버로 전송했을 때
Controller의 매개변수 차원에서 문제가 발생했을 때
ex) <input name="age">라는 input box에 값을 입력하지 않고, submit을 했는데
public String input(int age) 라고 Controller method의 매개변수로 설정해 두었을 때
spring의 Dispatcher는 age변수에 담긴 값을 int형으로 형변환을 시도한다.
이때, input box에 아무런 값이 없으면
age = Integer.valueOf("")의 코드가 실행되는 것과 같다.
이럴 때 내부에서 exception이 발생하고,
res code로 400번을 보낸다.
500 : Server Internal Error
사용자의 요청을 처리하는 과정에서 Controller, Service, Dao 등등 코드를 실행하는 도중
어떠한 원인으로 exception이 발생했을 때
오류메시지를 제일 하단부터 거꾸로 검토해 나가자
Error Stack 메시지는 발생된 순서가 역순으로 나타나기 때문
'공부 & 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git ignore (0) | 2020.09.16 |
---|---|
리눅스 명령어 (0) | 2020.09.16 |
웹페이지 개발할 때 생각 할 것들 (0) | 2020.09.14 |
Database : DB (0) | 2020.08.26 |
용어 (0) | 2020.08.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