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main() method를 진입점, 시작점이라 한다.
= : 할당연산자
변수의 용도
기억장치(메모리)의 어딘가에 값을 보관해두고
이후에 보관된 값을 읽어서(꺼내서) 다른 연산에 사용하기 위함
1 . 사용하기전에 반드시 선언이 되어 있어야 한다.
2 . 읽기전에 반드시 초기화(어떤값을 보관하는 절차, 코드)가 되어 있어야한다.
3 . 초기화가 되지 않은 변수는 저장, 할당, 보관 만 할 수 있다.
5 . 선언, 초기화 된 변수에 어떤 값을 저장하게 되면
현재 보관중인 값은 사라지고 새로 저장하는 값으로 대체된다.
>>>>> 변수의 성질들
// 변수를 선언하면서 초기화(0 을 저장)까지 동시에 수행
int intNum = 0 ;
// 선언된 변수의 값을 저장하기
intNum = 90;
// intNum 변수에 보관중인 값을 읽어서 intSum에 복사하라는 이야기
int intSum = intNum ;
intSum = 30;
변수 사용에 불가한 코드
// 변수 사용에 불가한 코드
// 1. 변수는 연산자등이 부착되지 않은 상태로 단독으로 명령문을 이룰 수 없다.
// intNum; / = 할당연산자가 붙거나 intNum++; 또는 intNum+= 3; 또는 a = intNum; 이렇게 해야지 혼자는 만들 수 없다. intNum+1 << 사칙연산 혼자도 안됌
// 2. 변수는 변수 앞이나 뒤에 반드시 할당연산자( = )가 있어야 한다.
// intNum +;
// + intNum ;
// intNum + 1;
옳은 코드
intNum = 3 ;
intNum += 3;
intNum = intNum + 3 ;
intNum++;
intNum += 1; // ++ 를 풀어쓰면 이럼
intNum = intNum +1 ;
intSum = intNum;
>>>>>>>>>> Grade_01🙂
// rnd : 인스턴스, 객체 라고 부른다.
// 변수이면서 일반적인 변수와는 다른 성질을 갖는다.
Random rnd = new Random();
// 점, DOT (.) 연산자를 사용하여 또 다른 기능의 명령어를 연결하고
// 명령문을 이룰 수 있다. // 변수와 같기에 혼자는 못씀 / rnd; X
// 아래의 명령문은 아무일도 수행하지 않는 것처럼 보이지만
// 실제로는 무언가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 이 명령문은 Console 에 표시하는 기능이 없기 때문에
// 수행된 결과를 확인할 수 없을 뿐이다.
// 점 연산을 사용하여 연결되는 명령문 중 () 가 부착되는 명령문을 method라고 부른다.
rnd.nextInt(); // rnd 객체의 nextInt() method라고 부른다.
//Random 클래스의 nextInt() method라고도 부른다.
// 명령문이 수행된 결과를 Console에 나타내고 싶으면
// 일단 어떤 변수와 연결하여 사용을 한다.
// 아래의 코드는 nextInt() method를 실행한 후
// 결과를 num라는 변수에 보관을 한다.
int num = rnd.nextInt();
System.out.println(num); // 비로소 변수에 담아서 변수에 있는 내용을 Console에 출력하면 rnd가 무슨 일을 했는지 알 수 있음
// nextInt()는 다른 (4칙)연산자와 혼합하여 연산을 수행할 수 있는데
// 이때는 그 결과를 반드시 다른 변수에 보관해야한다.
num = rnd.nextInt() / 10 ;
// system, out, println()라는 3개의 명령어가 점(.)연산자로 연결되어 하나의 명령문이 된 형태
// 이 명령문은 끝의 println() method의 괄호안에 있는 값, 연산결과, 변수에 담긴 값들을 Console에 보여주는 명령문이다.
System.out.println(num);
>>>>>>>>>> Grade_02🙂
클래스
-
자바(JDK)에는 매우 다양한 역할을 실행할 수 있는 명령들이 포함되어 있다.
-
이러한 명령들은 클래스를 인스턴스로 생성하므로써 사용할 수 있다.
-
하지만 다양한 프로젝트를 수행하다 보면
-
자바의 JDk에 준비된 키트만으로는 모든 기능을 구현하기가 어렵다.
-
개발자는 필요하면 기본으로 제공되는 JDK외에 자신만의 기능을 수행하는 키트를 만들어 사용할 수 있다.
-
이러한 키트를 자바에서는 클래스라고 한다.
-
클래스(파일)을 만드는 것은 새로운 키트를 만드는 것이다.
Score score = new Score(); // 내가 만든 클래스를 사용하려는 초기화 생성
>>>>>>>>>> Score🙂
public을 붙여주면 객체. 변수이름 (값 저장 가능)
public String strName = "홍길동";
public int intAge = 33 ;
public String strTel = "010-111-1111";
>>>>>>>>>> Student🙂
Student 홍길동 = new Student();
Student 이몽룡 = new Student();
Student 성춘향 = new Student();
홍길동.strName = "홍길동";
홍길동.intAge = 38;
홍길동.strTel = "010-111";
이런식으로 바로값 저장 가능!!
객체를 이해하려면 Carmake가 이해 쏙쏙!!
.getName() : 마치 변수가 들어있는 것 처럼 똑같이 사용할 수 있음
책
p.126 ~ p,196
728x90
'Java' 카테고리의 다른 글
equals() (0) | 2020.09.02 |
---|---|
20.05.25 Java_06 소수, 부가가치세 구하는 코드 (0) | 2020.09.02 |
20.05.26 Java_07,08 Random & Array (0) | 2020.09.02 |
20.05.21 Java_04 print()명령문, if 명령문 (0) | 2020.09.02 |
20.05.20 Java_03 (0) | 2020.09.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