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ava

20.05.18 자바의 기초 패키지, 단위, 정수형 변수, 실수형 변수 JAVA_01

우롱차 2020. 9. 2. 21:16
728x90
 
  • 이클립스의 폴더 개념 → 패키지
    • 보통 패키지의 네임은 회사 도메인으로 한다.
      • ex ) naver.com 이면 com.naver.ppago.
        •                          ↑ 프로젝트 이름
  • 이클립스에는 자동완성 기능이 있다.
    • ex) 고유명사 키워드(main, sysout) + space bar

  • 32 bit = 2진수 32개
1 word = 8bit 한개 한개
문자의 최소 단위 = 8bit
32 bit → -2 31승 ~ +2 31승의 -1
정수가 저장되는 기억장소의 범위 공간
2의 31 승은 저장 안됌 = overflow
 
  • 16자리 최대로 표현 가능
    • 정수 & 실수 저장공간 완전 다르다.
    • 오차를 감안해야함. 17째 자리부터 오차가 발생.
    • ex) 1.333333333 ~ 16자리 (최대로 표현할 수 있음)
    • 큰 수일 때는 _로 나눠서 (3자리)
    • ex) 1000_000_000L
 
  • 컴퓨터에서 숫자의 취급
    • 숫자는 컴퓨터 메모리에서 임시로 저장이 되고 연산처리가 되는데
    • 메모리 저장 공간의 구조에 따라 저장할 수 있는 수의 크기가 정해진다.
    • 정수는 32비트의 공간에 부호를 제외한 31비트 크기만큼의 음수와 양수를 저장할 수 있다.
    • 실수는 32비트 공간에 특별한 방법으로 저장을 하는데
    • 소수점 이하의 값을 연산(자르기등)의 방법을 통해 저장을 한다.
    • 실수는 소수점 이하 16자리까지 최대 표현할 수 있으며
    • 17자리 이후는 잘라버려서 오차가 된다.

변수란 ?

 
  •  
★ 변수
  • = 같다는게 아니라 이걸 기준으로 구별한다는 소리 Java_01 > Var_01
  • = : 대입 연산자
  • main {   } 중괄호 사이를 메인 메소드 스코프라고 칭함. Java_01 > Var_02
  • 메인 메소드 스코프안에서 선언된 변수는 } 로 끝나는 밖에서는 삭제된다.
  • 같은 스코프 내에서 한번 선언된 이름은 같은 이름으로 안됌.
    • 변수명은 가급적 두단어 이상으로 의미있게
    • 클래스 만들때는 대문자로 시작
    • 변수는 소문자로 시작
  • 변수의 성질 : 변경해서 저장할 수 있다.
  • = 0; clear라는 의미 Java_01 > Var_03
 
  • 변수는 할당, 읽기를 수행하기 전 반드시 선언되어 있어야 한다.
    • 변수는 읽기를 수행하기 전 반드시 선언 및 할당이 되어있어야 한다.
    • (선언만 되어있는 변수는 읽기가 불가능 하다.)
    • 이미 할당된 변수에 다른 값을 할당하면 이전에 보관된 값은 삭제된다.
 
  • 읽고 저장하는 순서 위 → 아래   Java_01 > Var_04
    • ex ) num = 40;
    •        num = 30;
    •        num = 50;
      • num을 출력하게되면 50이라는 값만 나온다.  Java_01 > Var_05
    • 명령문이 위에서 아래로 진행된면서
    • 변수에 어떤 값을 할당하면
    • 이전에 보관 되어 있던 값은 무조건 삭제된다.
  • 오류없이 변경되게 하는 건 잘만들어진 코드 ← 변수를 쓰는 목적은 이를 위해서

변수 선언 규칙

  • 1. 변수명 : 첫글자는 영문소문자 또는 _ )
    • 두번째 : 영문대소문자, 숫자, _ 사용할 수 있다.
    • 변수명은 의미를 담게 명명하자
    • 두 단어 이상 연결하여 변수명을 작성할때는
    • 단어_단어 또는 wordWord 패턴으로 작성하자.
    • =단어_단어 : snake case
    • wordWord : camel case

증감문

++num; << 먼저 계산 중간에 있을때 먼저 +가 됌
num++; << 끝날때 실행, 끝에서 사용, 끝날때 +가 된다.
 
  • 단독으로 ++ 사용할 때는
  • num++;;
  • ++num;;
  • 앞뒤 상관 없지만 보통 num++;로 많이 사용한다.

실수형 변수

 
  • float : 소수점이하 7자리까지 표현
  • double : 소수점이하 17자리까지 표현

정수형 변수

  • integer형 변수 int : 2의 31 +- 범위의 정수 취급
    • 32 bit, 4byte)
  • long : 64bit 크기의 값 취급
  • 2의 63 +- 범위의 값 취급
728x90

'Java'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05.20 Java_03  (0) 2020.09.02
BigInteger  (0) 2020.09.02
JAVA의 기본자료형과 객체자료형  (0) 2020.09.02
BufferedInputStream & byte[] b = new byte[4096]  (0) 2020.09.02
JAVA의 형변환  (0) 2020.09.02